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

[ 네트워크 ] client-server, peer to peer

by 신인용 2020. 5. 3.
반응형

 

client-server, peer to peer

 

 

 

 Application architectures는 두가지가 있다.

1. client-server

2. peer-to-peer (P2P)

 

 

 

 

 

Client-Server

 client-server 구조는 client와 server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이다. client는 데이터를 요청해서 받는 쪽이고, server는 데이터를 보내는 쪽이다.

 

 Server

- client가 언제 데이터를 요청할 지 모르기에, 항상 ON 상태이다.

- client가 같은 IP 주소로 정보를 요청하므로 IP주소가 고정되어 있다.

- data center(cloud 기반)를 통해서 서버가 운용되는 경우도 있다.

 

 Client

- 간헐적으로 연결된다.

- 일반적으로 동적 IP주소를 가진다. (IP주소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 Clients끼리 직접적으로 communication을 못한다. 반드시 server를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Peer-to-Peer (P2P)

 P2P방식은 서로 동등한 Peers(end systems)끼리  직접적으로 communication을 해서 정보를 주고 받는다. 새로운 peers가 나타나면 스스로 규모가 늘어난다. P2P link가 많아지는 것이다. 이것을 self scalability라고 한다.

 

- server같이 항상 ON되어 있는 것이 없다.

- peers는 IP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새로운 IP주소가 부여가 된 상태에서도 여전히 P2P link를 유지하고 있다.

- 제약조건 : 사용자의 IP주소가 동적으로 바뀌면  P2P 네트워크를 뚫고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P2P가 될수도 안될수도 있다.

- 옛날 mp3파일 공유, 두 사람 간에 화상통화, 블록체인 등등

 

 

 

 

 

 

 

[참고]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 Edition / Kurose, Ross / Pearson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