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39

[ 네트워크 ] LTE LTE LTE LTE의 구성은 대략 이렇다. 단말과 기지국을 E-UTRAN이라고 부른다. network 이름이다. 맨 밑에 Physical layer가 있고, 그 위에 MAC이 있다. 그리고 그 위에 RLC, PDCP, RRC가 있는데 이것은 LTE에 특화해서 만든 계층이다. Physical이 L1이고, 그 위에 세 개가 L2이다. 이동통신이다보니 L2가 무겁다. RLC : 재전송에 대한 부분 PDCP : 헤더를 압축하는 역할 RRC : Layer3인데, 크기가 절반으로 그려져 있다. RRC는 control 목적으로만 사용한다. control이 아닌 일반 전송용 목적이면 따로 사용하는 것이 없다. 우리가 앞서 배웠던 TCP/IP를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L3, L4 … 윗부분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그대로.. 2020. 7. 10.
[ 네크워크 ] Wireless Network (무선 네트워크) Wireless Network (무선 네트워크) wireless hosts 유선이 무선이 된 것이기 때문에 접속하는 지점들, Access Point(AP)라고 불리는데, 기지국이 될 수 있다. 이런 무선 송수신기 하나가 network infrastructure에 붙어있다. 이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end link 딴에서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이 무선으로 AP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wireless host들은 랩탑, 스마트폰이다. 노트북은 stationary인데, 대부분 한 곳에 앉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안 움직인다고 말한다. 스마트폰은 mobile인데, 움직인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무선이라고 반드시 이동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mobility는 그림의 아래부분과 같이 이동하여 네트워크를 이동해 가.. 2020. 7. 10.
[ 네트워크 ] Data center networks Data center networks 이 그림은 마이크로스프트웨어의 data center이다. 하나나가 server이다. cloud center라고 생각하면 된다. Amazon, Youtube, Akamai, Apple 등에서 data center를 운영한다. 각각 하나의 server가 최대 수용할 수 있는 동시 최대 클라이언트 수가 있을 것이다. 이것의 해결책으로 수많은 server로 load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Data center networks data center network의 구성이다. 우리가 아는 네트워크와 비슷하게 생겼다. load balancer에서 각각 server를 분기시켜서 보내게 된다. 스위치가 Tier별로 있다. 이 load balance는 L3가 아닌 애플리케이션 딴에서 라.. 2020. 7. 3.
[ 네트워크 ] MPLS :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지금까지는 IP주소를 가지고 경로를 찾아왔다. IP주소 대신에 고정된 하나의 label을 가지고 forwarding을 해주는 것이다. 특정 source IP주소에서 destination IP주소까지 데이터가 날아가기 위해선 라우터 입장에서 매번 데이터가 지나갈 때마다 같은 주소임에도 불구하고 매번 찾아가야 한다. 특정 src 주소에서 특정 des 주소까지 날아가는 flow가 주어져 있다면 그 flow에다가 하나의 label을 붙이겠다는 것이다. IP주소 대신에 fixed length identifier label이라는 하나의 번호를 부여해서 그 번호면 빠르게 찾을 수 있게 .. 2020. 7. 3.
[ 네트워크 ] VLAN VLAN 컴퓨터과(CS)와 전자과(EE)가 있다. CS유저가 EE office로 갔는데 자기는 여전히 CS에 붙고 싶다고 한다. 이런 경우엔 virtual하게 local area network를 분리해서 구성할 수 있다. 그것이 VLAN이다. CS과와 EE를 virtual하게 구분한다. 1번에서 8번까지는 EE고, 9번에서 16번까지는 CS라고 두 개의 다른 스위치로 구분했어야 했는데 같은 스위치로 virtual하게 다르게 구분할 수 있다. Port-based VLAN port number를 가지고 VLAN을 구분해서 운영할 수 있다. traffic을 isolation할 수 있다. 그래서 membership을 dynamic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런 부분들이 virtual LAN이다. VLAN 사이의 f.. 2020. 7. 3.
[ 네트워크 ] Ethernet Ethernet 이더넷은 wired LAN의 기술 중 하나였다. 유선 랜은 이더넷이라고 하는 특정 기술이 대세가 된 것이다. 대표 기술 같은 느낌. 하나의 chip에서 multiple speed가 가능하다. Broadcom은 이더넷을 만드는 회사다. 이더넷이 대세가 된 것은 간단하고 가격이 싸서 그렇다. speed가 10Mbps에서 시작해서 10Gbps까지 올라갔다. 지금은 local만 아니라 backbone망에까지도 사용이 된다. Ethernet이 물리적으로 topology를 어떻게 갖느냐. 과거에는 bus로 물려있었다. 여러 컴퓨터들이 bus로 물려있다. 이것이 초창기 이더넷인데, bus를 쓰게 되면 충돌이 발생한다. 요즘은 star 라는 topology를 사용한다. switch를 놓고 하나씩 hos.. 2020. 7. 3.
[ 네트워크 ] MAC protocol ( + ARP ) MAC protocol ( + ARP ) multiple access links, protocol multiple access links, protocol이라고 하는 것은 layer 2에서 하고 있는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이다. 유선이든 무선이든 link 있을 때 이 link에 다수의 station 또는 user 단말들이 물려있을 때 어떻게 접속할 것인가. 동시에 같은 리소스를 써서 둘 이상이 접속하게 되면 충돌이 나는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정하는게 multiple access protocol이다. 요즘 사용하는 것은 broadcast 기반이다. shared wire인데, 대부분 회사, 학교에서 쓰고있는 유선 인터넷들은 이더넷이라고 하는 유선랜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유선랜은 cable이 붙어있고 cab.. 2020. 7. 3.
[ 네트워크 ] Link Layer Services Link Layer Services 1. framing, link access link access라고 하는 기능이 가장 기본적인 service이다. datagram을 frame 단위로 encapsulate해서 header와 trailer가 붙고 frame으로 만들어준다. link layer에서는 error 체크를 위해 trailer를 붙인다. 그래서 frame은 datagram + header + trailer 이다. shared medium에서 충돌이 나지 않도록 하거나, 충돌났을 때 해결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channel access에 대해 정의하게 된다. 그리고 MAC이 있는데, Medium Access Control의 약자이다. MAC 주소가 frame에 붙게 되는데, IP header에 주소.. 2020. 7. 3.
[ 네트워크 ] 네트워크 관리 : Network Management (SNMP) 네트워크 관리 : Network Management (SNMP) 네트워크 관리란? autonomous system (또는 domain) 안에는 대략 1000개 정도의 component들이 상호작용하고 있다. 나름 복잡한 시스템이다. 비행기라던지, 핵발전소라던지, 주로 이런데서 모니터링하고 컨트롤 한다. 이것처럼 네트워크 사업자는 지켜보고 관리해줄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런 것에 대한 프로토콜이 있다. 네트워크 관리는 deployment, integration, coordination, monitor, test 등등 이런 모든 것에 대한 control을 한다. 결국 QoS의 요건이 resonable한 cost로 제공이 되는지, performance가 제공이 되는지 등등 이런 것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cont.. 2020. 7. 3.
[ 네트워크 ] ICMP ICMP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상에서 보내고 받고 하는 수많은 control에 대한 부분을 해결해주는 protocol이다. 그래서 host나 router에서 사용된다. 주로 error reporting에 많이 사용된다. ping을 사용하여 echo (한 번 보내면 다시 오는)를 잘 갖고 오는지 확인한다. 그래서 destination network가 unreachable하거나 destination host가 unreachable하다… 등등 이런 여러 에러 메시지들 또는 ping같은 것에 의해서 사용되는 것이 ICMP이다. ICMP 자체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인데, IP 위에 올라간다. ICMP message는 type, code를 정의해놓고 8.. 2020. 7. 3.
[ 네트워크 ] SDN - (2) SDN - (2) SDN-controlled switches data plane은 SDN control 되어있는 SDN-controlled switch들이다. 이것들은 스위치 기능을 해주는 하드웨어이다. 이 내부에는 flow table이 있어 table 기반의 switch control이다. software에 의해 control 되는 API가 존재하는데 이 API는 OpenFlow를 통해서 단일화되어 있는데, 어떤 것이 control 가능한지, 어떤 것이 안되는지 이런 것들이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이 controller하고 communication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protocol이 있는데, 이 protocol은 OpenFlow에 의해서 정의가 되어있다. SDN controller 하드웨어 swit.. 2020. 7. 3.
[ 네트워크 ] Internet inter-AS routing: BGP Internet inter-AS routing: BGP BGP inter-AS routing으로 널리 사용되는 protocol이다. 전체 인터넷을 하나로 붙여주는 역할을 한다. BGP는 두가지 타입이 있다. - eBGP : 이웃 AS 간에 도달할 수 있는가 등에 대한 정보들을 이웃AS끼리 주고받는 것이다. - iBGP : 한 AS 내부에서 어디에 갈 수 있는가 등에 대한 정보들을 내부에서 전파하는 것이다. BGP를 통해서 인터넷 전체에 "나 여기 있어"라고 나의 존재에 대해 알릴 수 있다. 1c - 2a 와 2c - 3a 가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아서 연결을 만들었다. 이웃 AS간에 연결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을 만드는 것이 eBGP에서 하는 것이다. 1c 입장에서는 2a가 내게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AS1.. 2020. 6. 8.
[ 네트워크 ] SDN 요약정리 SDN SDN control plane 등장 배경 역사적으로 네트워크는 distributed, per-router 로 구현이 되어왔다. monolithic router는 switching hardware를 가지고 있고, 자신만의 구현을 하는데 여러가지 프로토콜을 가진다. 그런데 각기 다른 middleboxes가 존재한다. firewall, load balancers, NAT boxes, 등등… 이것을 어떻게 해결해줄까? 그래서 network control plane에 대한 고민의 해결책으로 SDN이 등장했다. 좀 더 알아보기 위해 per-router control plane과 logically centralized control plane을 살펴보자. per-router contol plane은 각각 라.. 2020. 6. 8.
[ 네트워크 ] Control plane의 형태 Control plane의 형태 Control plane은 두가지 형태가 있다. 1. 전통적으로 사용해왔던 per-router control. 라우터마다 라우팅 알고리즘이 구현되어 있는 형태 2. 최근에 등장한 softward defined networking(SDN). logically centralized control이 도입된 형태 Per-router control plane 각각의 라우터별로 Routing Algorithm을 수행한다. 그래서 라우터별로 forwarding table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Routing Algorithm을 통해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아 Routing한다. 이것은 네비게이션과 비슷하다. 최단경로 또는 최저비용 또는 가장 혼잡하지 않는 경로를 알려준다. 즉 어떤.. 2020. 5. 27.
[ 네트워크 ]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SDN 요약정리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각각의 라우터들은 datagram을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flow table을 가지고 있다. 이 flow table은 logically centralized routing controller에 의해 컨트롤 된다. 그래서 data plane과 control plane으로 나뉘게 된다. 이 때 control plane을 software defined으로 해보자는 것이 SDN이다. 이전에는 라우터라는 Hardware 디바이스에 종속되어 있었다. 이것을 일반화된 forwarding (packet-handling rules)을 하자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SDN에서는 control plan.. 2020. 5. 24.